비산먼지 발생사업신고서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지 제24호서식] <개정 2013.5.24>
| ||||||||||||||||||||||||||||||||||||||||||||
비산먼지 발생사업신고서
| ||||||||||||||||||||||||||||||||||||||||||||
접수번호
|
접수일
|
처리일
|
처리기간
|
4일
| ||||||||||||||||||||||||||||||||||||||||
신청인
|
상호(사업장 명칭) :
| |||||||||||||||||||||||||||||||||||||||||||
성명(대표자) :
|
생년월일 :
| |||||||||||||||||||||||||||||||||||||||||||
주소 :
|
휴대번호 :
| |||||||||||||||||||||||||||||||||||||||||||
사업장 소재지 :
|
전화번호 :
| |||||||||||||||||||||||||||||||||||||||||||
설치기간(공사기간)
|
변경전:2016년 01 월 12 일부터 2016 년 05 월 28 일까지
| |||||||||||||||||||||||||||||||||||||||||||
발 생 사 업
| ||||||||||||||||||||||||||||||||||||||||||||
발 생 사 업
|
대 상 사 업
|
규 모
| ||||||||||||||||||||||||||||||||||||||||||
건설업
|
연면적 : M2
| |||||||||||||||||||||||||||||||||||||||||||
비산먼지 등 발생억제시설 및 조치사항
| ||||||||||||||||||||||||||||||||||||||||||||
배출공정
|
주요 억제시설 설치 및 조치내용
| |||||||||||||||||||||||||||||||||||||||||||
별첨 :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
|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43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58조제1항에 따라 비산먼지발생 사업 등(변경)을 신고합니다.
| ||||||||||||||||||||||||||||||||||||||||||||
2015 년 월 일장
| ||||||||||||||||||||||||||||||||||||||||||||
신청인
|
(서명 또는 인)
| |||||||||||||||||||||||||||||||||||||||||||
익 산 시 장 귀하
| ||||||||||||||||||||||||||||||||||||||||||||
제출서류
|
※ 건설업만 제출한다. 다만, 변경신고의 경우 변경내용을 증명하는 서류만 제출
1. 공사개요(공사목적 및 공사일정 포함)
2. 공사장 위치도(공사장 주변 피해대상 표시)
3. 방진시설 등의 설치 명세 및 도면
4. 그 밖의 저감대책
|
수수료
없음
| ||||||||||||||||||||||||||||||||||||||||||
처리절차
| ||||||||||||||||||||||||||||||||||||||||||||
| ||||||||||||||||||||||||||||||||||||||||||||
210mm×297mm[백상지 80g/㎡]
|
▣ 공사개요 및 발생사업
1. 공 사 명 :
2. 대지위치 :
3. 지역지구 : 일반공업지역,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 (일반산업단지)
4. 대지면적 : M2
5. 건축연면적 : M2
(1동 – M2 / 2동 – M2 / 3동 – M2 / 4동 – M2)
6. 건축개요 :
7. 공사일정표
① 착공예정일시 : 2015년 09월 11일
② 지장물 철거 등 사전작업일시 : 2015년 09월 11일 ~ 2016년 04월 30일
③ 장비투입 및 비산먼지 발생작업 개시예정일: 2015년 09월 12일 ~2016년 04월 30일
④ 총공사예정기간: 2015년 09월 11일 ~ 2016년 05월 28일
8. 시공회사 등
① 시공회사명 :
② 설 계 자 :
③ 현장대리인 :
▣ 공사장 위치도 및 피해지역예상도

▣ 비산먼지 방지시설 설치기준 및 조치내역
[별표 14] <개정 2011.8.19>
| ||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제58조제4항 관련)
| ||
배출공정
|
시설의 설치 및 조치에 관한 기준
|
주요 억제 시설 설치 및 조치 내용
|
1.야적(분체상물질을야적하는경우에만 해당한다)
|
가.야적물질을 1일 이상 보관하는 경우 방진덮개로 덮을 것
나.야적물질의 최고저장높이의 1/3 이상의 방진벽을 설치하고, 최고저장높이의 1.25배 이상의 방진망(막)을 설치할 것. 다만, 건축물축조 및 토목공사장․조경공사장․건축물해체공사장의 공사장 경계에는 높이 1.8m(공사장 부지 경계선으로부터 50m 이내에 주거․상가 건물이 있는 곳의 경우에는 3m) 이상의 방진벽을 설치하되, 둘 이상의 공사장이 붙어 있는 경우의 공동경계면에는 방진벽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야적물질로 인한 비산먼지 발생억제를 위하여 물을 뿌리는 시설을 설치할 것(고철 야적장과 수용성물질 등의 경우는 제외한다)
라. 공장 내에서 시멘트 제조를 위한 원료 및 연료는 최대한 3면이 막히고 지붕이 있는 구조물 내에 보관하며, 보관시설의 출입구는 방진망(막) 등을 설치할 것(시멘트 제조업만 해당한다).
마.가목부터 라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라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방진덮개 : 야적물질의 흩날림을 없도록 검은색 망으로 덮는다.
▸규격:5mW X 5mL : 25m2(1식)
나.방진벽 : 대지 경계선상 1면에 방진벽(망)을 설치하여 공사장 내의 비산먼지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규격:방진벽(EGI+부직포)-2.4m(H)X 180m(L)
잔여구간:측면:100m구간 1.8m 기존옹벽활용
배면:180m구간 2.0m 기존옹벽활용
다. 이동식 살수시설을 설치 운영
(살수압력 3㎏/㎠ 이용)
라. 해당없음.
마. 이행.
|
2. 싣기 및 내리기(분체상 물질을 싣고 내리는 경우만 해당한다)
|
가.작업 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이동식 집진시설 또는 분무식 집진시설(Dust Boost)을 설치할 것(석탄제품제조업, 제철․제강업 또는 곡물하역업에만 해당한다)
나.싣거나 내리는 장소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물을 뿌리는 시설(살수반경 5m 이상, 수압 3㎏/㎠ 이상)을 설치․운영하여 작업하는 중 다시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곡물작업장의 경우는 제외한다)
다.풍속이 평균초속 8m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할 것
라. 공장 내에서 싣고 내리기는 최대한 밀폐된 시설에서만 실시하여 비산먼지가 생기지 아니하도록 할 것(시멘트 제조업만 해당한다)
마. 조쇄를 위한 내리기 작업은 최대한 3면이 막히고 지붕이 있는 구조물 내에서 실시 할 것. 다만, 수직갱에서의 조쇄를 위한 내리기 작업은 충분한 살수를 실시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할 것(시멘트 제조업만 해당한다)
바.가목부터 마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마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세륜시설 설치운용
(살수압력 3㎏/㎠ 이용)
다. 이행.
라. 해당없음.
마. 해당없음.
바. 이행.
|
3.수송(시멘트․석탄․토사․사료․곡물․고철의 운송업의 경우에는 가․나․바․사․자의 경우에만 해당하고, 목재수송은 사․아․자의 경우에만 해당한다)
|
가.적재함을 최대한 밀폐할 수 있는 덮개를 설치하여 적재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아니하고 흘림이 없도록 할 것
나. 적재함 상단으로부터 5㎝ 이하까지 적재물을 수평으로 적재할 것
다.도로가 비포장 사설도로인 경우 비포장 사설도로로부터 반지름 500m 이내에 10가구 이상의 주거시설이 있을 때에는 해당 부락으로부터 반지름 1㎞ 이내의 경우에는 포장, 간이포장 또는 살수 등을 할 것
라.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을 설치할 것
1) 자동식 세륜(洗輪)시설
금속지지대에 설치된 롤러에 차바퀴를 닿게 한 후 전력 또는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차바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차바퀴에 묻은 흙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시설
2)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
- 수조의 넓이 : 수송차량의 1.2배 이상
- 수조의 깊이 : 20센티미터 이상
- 수조의 길이 : 수송차량 전체길이의 2배 이상
-수조수 순환을 위한 침전조 및 배관을 설치하거나 물을 연속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할 것
마. 다음 규격의 측면 살수시설을 설치할 것
- 살수높이 : 수송차량의 바퀴부터 적재함 하단부까지
- 살수길이 : 수송차량 전체길이의 1.5배 이상
- 살 수 압 : 3㎏/㎠ 이상
바. 수송차량은 세륜 및 측면 살수 후 운행하도록 할 것
사.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공사장안의 통행차량은 시속 20㎞ 이하로 운행할 것
아.통행차량의 운행기간 중 공사장 안의 통행도로에는 1일 1회 이상 살수할 것
자. 광산 진입로는 임시로 포장하여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시멘트 제조업만 해당한다)
차.가목부터 자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자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이행.
나. 이행.
다. 해당없음.
라. 차목으로 대체.
마. 차목으로 대체.
바. 차목으로 대체.
사. 이행.
아. 이행
자. 해당없음.
차. 공사장 출입구 골재포설 후 부직포 설치
환경전담원 고정배치하여 비산먼지억제조치.
|
4. 이송
|
가.야외 이송시설은 밀폐화하여 이송 중 먼지의 흩날림이 없도록 할 것
나.이송시설은 낙하, 출입구 및 국소배기부위에 적합한 집진시설을 설치하고, 포집된 먼지는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제거하는 등 적절하게 관리할 것
다.기계적(벨트컨베이어, 바켓엘리베이터 등)인 방법이 아닌 시설을 사용할 경우에는 물뿌림 또는 그 밖의 제진(除塵)방법을 사용할 것
라. 기계적(벨트컨베이어, 바켓엘리베이터 등)인 방법의 시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할 것(시멘트 제조업만 해당한다)
마.가목부터 라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라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마. 해당없음.
|
5. 채광․채취(갱내작업의 경우는 제외한다)
|
가. 살수시설 등을 설치하도록 하여 주위에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나. 발파 시 발파공에 젖은 가마니 등을 덮거나 적절한 방지시설을 설치한 후 발파할 것
다. 발파 전후 발파 지역에 대하여 충분한 살수를 실시하고, 천공시에는 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할 것
라. 풍속이 평균 초속 8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발파작업을 중지할 것
마.작은 면적이라도 채광ㆍ채취가 이루어진 구역은 최대한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조치할 것
바. 분체형태의 물질 등 흩날릴 가능성이 있는 물질은 밀폐용기에 보관하거나 방진덮개로 덮을 것
사. 가목부터 바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였을 경우에는 가목부터 바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는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마. 해당없음.
바. 해당없음.
사. 해당없음.
|
6. 조쇄 및 분쇄(시멘트 제조업만 해당하며, 갱내 작업은 제외한다)
|
가. 조쇄작업은 최대한 3면이 막히고 지붕이 있는 구조물에서 실시하여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나. 분쇄작업은 최대한 4면이 막히고 지붕이 있는 구조물에서 실시하여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 살수시설 등을 설치하여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라.가목부터 다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를 하였을 경우에는 가목부터 다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는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
7.야외절단
|
가.고철 등의 절단작업은 가급적 옥내에서 실시할 것
나.야외절단 시 인근 주위에 간이 칸막이 등을 설치하여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야외 절단 시 이동식 집진시설을 설치하여 작업할 것. 다만, 이동식집진시설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진공식 청소차량 등으로 작업현장에 대한 청소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것
라.풍속이 평균초속 8m 이상(강선건조업과 합성수지선건조업인 경우에는 10m 이상)인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할 것
마.가목부터 라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라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마. 해당없음
|
8.야외 탈청(脫靑)
|
가.탈청구조물의 길이가 15m 미만인 경우에는 옥내작업을 할 것
나. 야외 작업 시에는 간이칸막이 등을 설치하여 먼지가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 야외 작업 시 이동식 집진시설을 설치할 것. 다만, 이동식 집진시설의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 진공식 청소차량 등으로 작업현장에 대한 청소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
라. 작업 후 남은 것이 다시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마.풍속이 평균초속 8m 이상(강선건조업과 합성수지선건조업인 경우에는 10m 이상)인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할 것
바.가목부터 마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마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마. 해당없음.
바. 해당없음.
|
9.야외 연마
|
가.야외 작업 시 이동식 집진시설을 설치․운영할 것. 다만, 이동식 집진시설의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 진공식 청소차량 등으로 작업현장에 대한 청소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
나.부지 경계선으로부터 40m 이내에서 야외 작업 시 작업 부위의 높이 이상의 이동식 방진망 또는 방진막을 설치할 것
다. 작업 후 남은 것이 다시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라.풍속이 평균초속 8m 이상(강선건조업과 합성수지선건조업인 경우에는 10m 이상)인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할 것
마.가목부터 라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라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마. 해당없음.
|
10.야외 도장(운송장비제조업 및 조립금속제품제조업의 야외구조물, 선체외판, 수상구조물, 해수담수화설비제조, 교량제조 등의 야외도장시설과 제품의 길이가 100m 이상인 제품의 야외도장공정만 해당한다)
|
가.소형구조물(길이 10m 이하에 한한다)의 도장작업은 옥내에서 할 것
나.부지경계선으로부터 40m 이내에서 도장작업을 할 때에는 최고높이의 1.25배 이상의 방진망(개구율 40% 상당)을 설치할 것
다.풍속이 평균초속 8m 이상일 경우에는 도장작업을 중지할 것(도장작업위치가 높이 5m 이상이며, 풍속이 평균초속 5m 이상일 경우에도 작업을 중지할 것)
라.연간 2만톤 이상의 선박건조조선소는 도료사용량의 최소화, 유기용제의 사용억제 등 비산먼지 저감방안을 수립한 후 작업을 할 것
마.가목부터 라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라목까지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가. 해당없음.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마. 해당없음.
|
11.그 밖에 공정(건축물축조공사장, 토목공사장 및 건물해체공사장의 경우만 해당한다)
|
가.건축물축조공사장에서는 먼지가 공사장밖으로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다음과 같은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를 할 것
1)비산먼지가 발생되는 작업(바닥청소, 벽체연마작업, 절단작업, 분사방식에 의한 도장작업 등의 작업을 말한다)을 할 때에는 해당 작업 부위 혹은 해당 층에 대하여 방진막 등을 설치할 것. 다만, 건물 내부공사의 경우 커튼 월(curtain wall) 및 창호공사가 끝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철골구조물의 내화피복작업 시에는 먼지발생량이 적은 공법을 사용하고 비산먼지가 외부로 확산되지 아니하도록 방진막 등을 설치할 것
3)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 마감공사 시 거푸집 해체에 따른 조인트 부위 등 돌출면의 면고르기 연마작업 시에는 방진막 등을 설치하여 비산먼지 발생을 최소화할 것
4) 공사 중 건물 내부 바닥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관리하여 비산먼지 발생을 최소화할 것
나.건축물축조공사장 및 토목공사장에서 철구조물의 분사방식에 의한 야외 도장 시 방진막 등을 설치할 것
다.건축물해체공사장에서 건물해체작업을 할 경우 먼지가 공사장 밖으로 흩날리지 아니하도록 방진막 또는 방진벽을 설치하고, 물뿌림 시설
을 설치하여 작업 시 물을 뿌리는 등 비산먼지 발생을 최소화할 것
라.가목부터 다목까지와 같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조치하는 경우에는 가목부터 다목까지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를 제외한다.
|
1) 이행.
2) 해당없음.
3) 해당없음.
4) 이행.
나. 해당없음.
다. 해당없음.
라. 해당없음.
|
비고: 분체(粉體)형태의 물질이란 토사․석탄․시멘트 등과 같은 정도의 먼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
▣ 방진벽 및 분진망 시설 설치내역 및 도면
시설명 및 규격
|
비 고
|
시설명 : 가설방음벽(EGI휀스)
2.4m(H) X 180m(L)
|
부지경계선에 방진, 방음벽을 설치하여
비산먼지의 발생을 억제
|
▣ 배치도

■ 투입자재 및 수량 : 방음벽 2.4M(EGI휀스 H:2.4M)으로 총 180M 설치
* 가설방음벽 설치 계획 (상세)

▣ 기타 소음.진동 저감대책
가. 건설소음․진동규제 대책
1. 기본사항
1) 시공법/작업형태 등에 따른 건설기계별 소음․진동 특성을 사전에 파악한다.
2) 설계시부터 입지조건을 고려하여 소음․진동이 저감될 수 있도록 다음사항을 고려한다.
① 저소음/저진동 공법 선정
② 저소음 및 적정 용량의 건설기계 선정
③ 적절한 작업시간대 및 작업공정의 선정 : 낮 시간대에 작업
④ 방음벽 등의 차음시설 설치
3) 건설기계 운전 시 불필요한 소음․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음사항을 고려
① 현장관리 : 장내정비, 확성기 사용 억제
② 장비의 점검 및 정비 : 정비 불량에 의한 소음․진동 방지
③ 운전습관 : 급속 공회전 억제, 운전대기 시 엔진정지
④ 주변 주민의 협조 강구 : 사전에 공사의 목적 ․ 내용등을 설명
2. 공종별 소음저감대책
1) 정지공사
① 저소음 건설기계를 사용
② 장비의 고속운전 및 공회전 억제, 편하중에 의한 소음 억제
③ 무리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주의
④ 기계의 종류, 작업시간대 설정등에 유의
2) 운반공사
① 교통안전에 유의함과 운반에 수반되는 소음․진도 배려
② 운반로 점검 및 유지․보수 실시(과적 제한)
③ 차량의 주행시 급발진 및 공회전 억제
④ 주행속도는 20Km/HR 이하로 유지
3) 콘크리트 공사
① 설치면적의 충분한 확보 및 방음대책 강구
② 출입 차량의 소음․진동 억제
③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대기 장소 배려 및 공회전 억제
④ 콘크리트 펌프카 : 압송파이프 정비 및 공회전 억제
4) 포장공사
① 아스팔트 프랜트 : 충분할 설치면적 확보 및 방음대책 강구
② 포 장 : 조합할 기계별로 작업능력을 파악하여 기다리는 시간이 적도록 배려
www.kangha.net
Email : kangha@daum.ne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