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정보관리인 게시물 표시

문서화 정보관리 규정

문서명 문서화 정보 관리 문서번호 P-0760 개정번호 0 페이지 2/6 1. 적용범위    본 규정은 회사의 품질경영시스템에 관련된 문서화된 정보의 작성범위, 작성 및 갱신절차, 관리 방법에    대한 책임과 권한, 절차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본 규정은 문서화된 정보에 대한 관리 절차를 규정함으로서 문서화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3. 용어의 정의    3.1 문서화된 정보       문서화된 정보란 조직이 품질경영시스템의 기획과 운영에 필요한 문서, 외부출처의 자료, 기록 등을       포함한 통합된 정보를 말한다.   3.2 문서(DOCUMENT)         1) 문서는 품질문서와 일반문서로 나눈다.            2) "품질 문서"는 품질경영시스템의 내용을 개발한 문서로서 품질경영 매뉴얼, 품질 규정, 품질 지침서,          품질계획서, 작업표준서, 검사기준서 및 도면, 전자매체, 사외규격 등 품질경영 시스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문서를 말하며 작성, 검토, 승인 및 개정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3) "일반문서"는 회사의 경영 전반...

문서 및 정보관리절차서

업무 절차/FLOW 해설 ① 관리/기술표준의 제정 필요성을 아래의 경우에 검토. 1) 업무의 처리절차,책임,권한 등을 명문화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될 때 2) 제품개발/생산 및 서비스 수행과 관련한 업무를 표준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될 때 3) 신기술 및 신기법이 개발되어 적용이 필요할 때 4) 기타 표준화의 필요성이 인정될 때 ⑥ 표준번호 부여 및 등록방법. 본 규정 일반사항의 표준분류체계 및 번호체계 참조 ㅡ 회사표준은은 문서목록표 또는 회사표준체계표에 등록 ㅡ 양식은 양식등록대장에 등록 ⑨ 회사표준은 다음과 같은 경우 개정여부를 검토하며 개정은 처음 작성을 실시한 부서/담당이 수행함을 원칙으로한다. 1) 품질방침 및 시스템 변경시 2) 조직 및 기능의 변경시 3) QMS 규격의 변경시 4) 관련법규 및 고객의 요구사항 변경시 ⑩ 제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회사표준개정 등록. 개정부분은 "굵은 글씨"로 표기하여 식별. ㅡ 필요한 경우 서식은 서식관리대장에 개정 등록 ⑭ 법적 또는 지식 보존 목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문서를 보존용으로 비치 할 경우에는 아래의 "참고용"도장을 날인 후 보관하며 보통의 경우 전산 파일을 원본으로 하고 메인서버 또는 백업파일을 보관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⑮ 대외문서를 접수하면 해당부서에서는 접수내용을 확인하고, E-mail 등 전산으로 등록된 경우 경영대리인이 판단한 중요 문서는 출력하여 보관한다. ⑯ 접수문서의 내용주지 및 확인이 필요한 경우 해당구성원에게 회람 하거나 일정기간 게시하여 한다. ⑰ ...

문서화된 정보 관리절차서

(강하넷) www.kangha.net 절차서 :  문서화된   정보관리   절차서   1.     개   요 1.1.     이   절차서는   경영   시스템의   문서에   대한   기록   및   문서   관리   요구   사항을   정의한다 . 1.2.     문서   관리는   활동   및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담당   직원의   지침   문서에   적용되며   이   범위   이외의   문서   관리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 1.3.     기록관리는   고객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또는   아닌지   그   증거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여기에는   검사와   관련된   요구   사항 ,  구매   요구   사항 ,  계약   요구   사항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2.     관리   프로세스   2-1     문서   관리 1)     문서에   대한   관리   요구   사항은   내부   및   외부   문서에   대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