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FMEA 전개
1) FMEA 번호: 문서추적을 위해 사용 될 수 있는 FMEA 문서번호를 기입
2) 시스템, 하위시스템 또는 구성품 이름과 번호
분석의 적당한 수준을 나타내고 분석되어야할 시스템, 하위시스템 또는 구성품의 이름과 번호를 기입
3) 설계 책임: OEM, 부서, 부문 등을 기입
4) 작성자: FMEA 작성 책임자의 이름, 전화번호, 회사명을 기입
5) 모델년도/차종: 모델연도와 차종을 기입
6) 완료 예정일: 계획된 양산도면 배포일을 초과하지 않는 초기의 FMEA 완료 예정일을 기입
7) FMEA 최초 작성일/최근 개정일: 최초의 작성일자와 최근 개정일자를 기입
8) 핵심팀: 임무의 파악과 수행에 권한을 가진 책임있는 인원과 부서의 이름을 기입
9) 부품/기능: 분석하고자 하는 부품의 이름과 번호를 기입(도면에 표기된 동일한 용어)
10) 잠재적 고장형태: 고장은 발생할수 있으나 반드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가정하고
11) 고장의 잠재적 영향: 고객이 인지하는 것으로써 고장형태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X) 소음,거칠음,불규칙적인작동,작동불능,조잡한외관,불쾌한냄새,불안정성,작동저하,간혈적인작동
12) 심각도
1등급 - 없 음: 영향없음
2등급 - 매 우 경 미: 예민한 고객에의해 인지되는 결함
3등급 - 경 미: 평균적인 고객에의해 인지되는 결함
4등급 - 매 우 낮 음: 대부분의 고객에의해 인지되는 결함
5등급 - 낮 음: 부품이 작동하지만 몇가지 편의 부품의 성능이 떨어짐
( 고객 일부가 불만족 )
6등급 - 보 통: 부품이 작동하지만 몇가지 편의 부품의 작동 불능(고객이 불편을 경험)
7등급 - 높 음: 부품이 작동하지만 성능이 떨어짐 (고객 불만족)
8등급 - 매 우 높 음: 주요한 기능을 상실하면서 부품의 작동 불능
9등급 - 경고있는위험: 잠재적 고장형태가 경고를 하면서 자동차 안전운행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부법규에 대해 불일치 사항이 포함 될때의 매우 높은 심각도 등급
10등급 - 경고없는위험: 잠재적 고장형태가 경고없이 자동차 안전운행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부법규에 대해 불일치 사항이 포함 될때의 매우 높은 심각도 등급
13) 분류: 추가적인 공정관리가 요구되는 구성품
14) 고장의 잠재적 원인 / 메커니즘
고장의 잠재 원인은 설계 취약성의 증거로 정의되고, 그 결과는 고장형태이다. 각 고장형태에 대해
모든 생각할수 있는 고장 원인과 고장 메커니즘을 가능한 범위까지 나열하고 관련 원인을 찾아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인 / 메커니즘을 가능한한 간결하고 완전하게 나열
Email : kangha@daum.ne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