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관리 프로세스 | 문서 번호 | P-0807 | |||||||
쪽 | |||||||||
제정일자 | 2020-03-09 | 개정 번호 | 0 | 개정 일자 | 2021-11-22 | 시행일자 | 2021-11-23 |
1. 용어의 정의
1.1 개발 착수서
해당되는 제품의 개발관련(금형,치공구,설비) 모든 제반 사항의 진행을 의미함.
1.2 설계입력
고객의 요구 사항과 적용 표준, 규격, 법규, 제품의 성능 등 설계출력에 반영되어야 할 제반요소를 말한다.
1.3 설계출력
설계입력 요건에 근거하여 작성 되거나 만들어지는 각종 설계도, 설계완료 보고서, 설계계산서,
제품 등의 출력물을 말한다.
1.4 특별특성
법규 안전 또는 제품 / 공정의 지식을 통해 당사에 의해 선정된 것을 포함하여 고객에 의해 지정된 제품
및 공정특성을 말한다.
1.5 설계 고장형태 분석(DFMEA)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잠재하는 고장발생 유형을 모두 돌출하여 발생되는
고장으로 인한 문제점 및 고장원인을 초기에 진단하고 예방대책을 세움으로서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작성되는 것이다.
1.6 BOM (Bill Of Material)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을 필요한 수준으로 구분하여 작성한 목록으로서 제품의 구성순위, 재질
및 조달구분 등을 표기한다. 개발단계에 따라 견적가 검토를 위한 예비BOM, Proto 및 양산제품을
위한 양산BOM이 있다.
1.7 시작품 (Prototype Product)
고객의 요구조건 및 설계사양과의 적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험 제작하는 제품으로 설계검토 및
검증에 사용되는 제품을 말한다.
1.8 상호기능팀(CFT)
상호기능팀은 제품개발 업무프로세스( DA-PM-401 )에 근거하여 제품설계 및 개발에 따른 상호기능팀은 제품개발 프로세스(TERA-PM-001)에 근거하여 제품설계 및 개발에 따른 기능팀으로서의
기능팀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역할을 수행한다.
1.9 ESIR(Engineerring Sample Inspection Report)
시작도면에 의거 제작된 시작품의 기능 성능 내구력 만족 여부를 시험 성적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1.10 ESIR Check Sheet
고객의 요구 ES 시험 항목 만족여부 체크 시트를 말한다.
1.11 시작품 (Prototype Product)
고객의 요구조건 및 설계사양과의 적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험 제작하는 제품으로 설계검토 및
검증에 사용되는 제품을 말한다.
1.12 상호기능팀(CFT)
상호기능팀은 제품개발 업무프로세스에 근거하여 제품설계 및 개발에 따른 역할을 수행한다.
2. 책임과 권한
2.1 기술부서장
2.1.1 기술부서장은 CAD설비 및 기술 자료실 운영의 책임이 있으며, 제품개발 도면의 관리, 경쟁사
Bench Marking을 실시할 책임이있다. 그리고 고객으로부터의 정보의 입수 및 전달 그리고
개발중에 발생되는 제품,특허를 조사 하고 의뢰한 발명 또는 고안에 대한 특허를 직무발령 보상
규정에 의거 출원할 책임이 있다.
2.1.2 기술부서장은 설계관리 계획서를 작성하고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갱신, 유지관리를
해야 한다.
2.1.3 기술부서장은 설계입력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문서화하며 적정성에 대한 검토 및 승인을 해야한다.
2.1.4 기술부서장은 설계 출력물에 대한 승인 및 관리를 해야 한다.
2.1.5 기술부서장은 ESIR 확인 요청에의한 ES 시험항목 만족여부 체크 및 승인을 해야한다.
2.1.5 설계1,2팀장은 ESIR 확인 요청에의한 ES 시험항목 만족여부 체크 및 승인을 해야한다. 2.1.6 ES 시험항목을 명확히 인지하고 고객요구에 적합한 시험을 실시하도록 시험성적서 승인 및 관리를 해야한다.
2.2 생산(관리)팀장
2.2.1 제조공정에 대한 공정설계를 담당하고 이에 요구되는 제조설비의 설치 유지, 보전업무를 관장하고
공정개선을 추진한다.
2.2.2 제조공정상의 특별특성을 검토한다.
2.2.3 공정 FMEA를 통해 효율적인 공정의 검토 및 설치업무를 수행한다.
Email : kangha@daum.net
댓글
댓글 쓰기